티스토리 뷰

반응형

물리학 연구원(고용노동부)

 

1. 물리학 연구원 하는 일

물리학연구원은 자연현상을 탐구하고 실험하여 물리학의 원리와 기법을 연구·개발하며, 이러한 결과를 산업, 의료, 군사 분야에 응용하는 직업입니다. 반도체, 레이저(Laser), 입자가속기, 망원경, 전자현미경, 원자현미경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물질의 구조적 특성, 에너지의 변환 및 전달, 물질과 에너지와의 관계, 우주의 기원 및 구조, 기타 물리학적 현상을 관찰·실험합니다. 수학적 기법과 전산모델을 이용하여 조사와 실험결과를 분석하고 자연현상을 설명하기도 합니다. 물리학은 연구대상에 따라 천체물리, 입자물리, 핵물리, 고체물리, 나노물리, 통계물리, 원자물리, 광학, 생물물리 등 다양한 분야가 있으며, 연구자는 그중에서 특정 분야를 전공으로 정해 연구합니다. 또한 대부분의 물리학 분야는 이론 물리 분야와 실험물리 분야로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물리학의 성과는 주로 연구논문, 연구보고서, 특허, 기술개발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 물리학은 우리 주위에서 일어나는 모든 자연현상의 법칙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자연현상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물질과 그 물질에서 작용하는 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 주변 세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요. 탐구대상은 작게는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소립자부터 크게는 우주를 지배하는 원리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합니다. 이공계 전반의 기초학문으로 화학이나 생명공학, 전자공학, 기계공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반도체, 광통신, 디스플레이 등 첨단기술의 발전과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2. 물리학 연구원이 되려면?

물리학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물리학과에 진학하여 석사 학위 이상의 학력을 소지해야 합니다. 물리학연구원이 주로 진출하는 분야는 학계, 정부출연연구소 및 민간기업 부설연구소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물리학 기본이론과 기술을 다양한 분야에서 학제적으로 응용합니다. 물리학 석사과정에서는 세부 전공에 대한 더 전문적인 지식을 쌓을 수 있습니다. 연구원 채용과정에서 박사 학위 이상으로 지원자를 제한하는 경우가 많아 박사 또는 박사 후 과정(post doctor)의 교육과정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무엇보다 관련 분야의 연구경험이 중요하기 때문에 석사 또는 박사과정 중에 학내 외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해 보는 것이 좋고 연구보조원(RA) 경험이 있으면 입직에 유리합니다.

* 관련 학과: 물리학과, 천문학과, 반도체공학과, 전자공학과, 전기공학과, 기계공학과, 생명공학과 등

 

3. 적성과 흥미 알아보기

물리계의 운동을 이해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력과 수리력이 필요합니다. 과학에 대한 호기심과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상상력과 창의력도 요구되는데요. 물리적 환경에서 일하는 현상에 대한 호기심과 관찰력, 궁금증을 풀어내기 위한 적극성도 요구됩니다. 실험물리 분야의 경우, 실험연구가 업무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므로 실험과정에 대한 지적 호기심과 흥미가 요구됩니다. 본인의 연구과제를 끝까지 수행하고 관리하는 계획성과 꾸준하고 성실한 마음가짐도 필요합니다. 물리학의 발전은 오랫동안 연구과제를 진행하며 이뤄지기 때문에 물리현상을 탐구하고 분석하는 열정과 끈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팀을 구성하여 연구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다른 연구원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받아들이는 원만한 대인관계능력도 필요한 것이 물리학 연구원입니다.

 

4. 향후 전망

자연과학연구원의 전반적인 고용은 향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중 물리학연구원의 일자리도 향후 10년간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물리학은 기초과학 학문으로 연구원으로 입직하려면 석박사 학위 취득 등 오랜 기간 공부를 지속해야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학의 학과 통폐합 등으로 물리학 전공자가 줄어드는 반면,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지 않고 물리학 학사 취득으로도 기업체 취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 공부를 마치고 연구원으로 활동하려는 인력이 많은 편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물리학연구원의 업무는 자동화나 인공지능 등으로 대체될 수 없으며, 오히려 로봇화, 자동화, 디지털화, IT 융복합화 등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물리학을 적용할 수 있는 분야가 확장되고 있습니다. 물리학에서 사용하는 여러 데이터 분석기법은 금융분석이나 공정분석 기법과 유사하기 때문에 물리학 전공자는 금융, 보험, 은행, 반도체 기업 등으로도 진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원자력 발전산업과 관련해서도 향후 핵융합 기술이 보다 발전하고 상용화될 경우, 핵융합 및 핵폐기물 관련 연구 분야의 발전이 예상됩니다. 이처럼 기초과학 학문의 장점을 활용해 다양한 분야에서 물리학을 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물리학 분야 연구원의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물리학과 같은 기초과학 연구사업은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큰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부가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가 되는 과학기술인력의 체계적 육성과 지원을 중요한 정책적 과제로 제시하고 있고, 이에 수반되는 예산을 증액할 예정이므로 향후 물리학연구원을 포함해 자연과학 관련 인력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해 대학에서 반도체학과를 신설하고 정부 지원을 확대하고 있어서 향후 물리학연구원의 일자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반도체산업의 경우 전자공학 전공자의 진출이 활발하고 연구를 전담하는 인력을 위주로 채용하는 것은 아니어서 급격한 일자리 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현실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