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지적 및 측량 기술자

 

 

지적 및 측량 기술자가 하는 일은?

측량은 우리가 살고 있는 땅, 바다, 하천, 우주 등을 포함한 모든 공간상의 위치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거리·각·면적 및 형상 등을 관측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지적과 측량이 정보통신기술 (ICT)의 핵심인 위치정보를 가진 공간정보로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공간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서비스는 공간정보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위성측위시스템(GPS), 인공위성, 레이저스캐너, 음향탐지기, 지하투과레이더(GPR) 등 최첨단의 장비가 개발되면서 지상뿐 아니라 우주·지하·수중 등 다양한 공간으로 지적 및 측량기술자의 활동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드론을 활용한 항공 측량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적 및 측량기술자는 토목건설, 지도제작, 토지구획, 지형 연구, 천연자원개발, 지형공간 정보개발 및 기타 목적을 위해 지형·지물을 측량하고, 관련 업무의 계획, 실시관리, 분석·평가, 연구 등의 업무를 관리하며, 측량사 및 측량보조원의 활동을 감독·조정한다. 이를 위해 지형·지물에 대한 측지·측량 계획을 세우며 과거 측량자료, 기록부, 지도, 증서, 물리적 자료 등을 조사하여 측량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한다. 조사한 정보와 사진측량기록에서 새로운 자료를 개발하고, 측량통제 설정 및 재설정에 필요한 절차와 방법을 결정한다. 토털스테이션을 비롯한 측량기기와 고저관측기, 위성측량장비 및 기타 측량도구를 사용하여 대상지역을 측량한다. 이때 측량기술자는 건설공사의 계획·설계·시공을 위한 측량 외에 국토에 관한 조사·연구, 지도제작 등을 위해 GPS를 이용한 측지측량, 인공위성을 이용한 지구관측, 음향탐지기를 이용한 수중탐사 등을 수행한다. 측량결과를 검토·수정하여 도면을 작성하고, 측량결과서를 작성한다. 국가기본도를 대상으로 측량계획을 수립하고, 그 관측결과를 이용하여 국토위치의 기본이 되는 삼각점·수준점을 산정하기도 하며 새로운 측지·측량기술을 연구하기도 한다.

 

 

 

지적 및 측량 기술자

 

 

지적 및 측량 기술자 준비하는 방법은?

대학의 토목 및 건설 관련 공학, 공간정보 혹은 지적 관련 학과를 졸업하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한 후 취업할 수 있으며 GIS 등 전산 업무가 증가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생산하는 영역이 커지면서 정보처리 관련 학과, 데이터분석 관련 학과 졸업자들도 지적·측량업체에 취업하고 있다. 취업 시 자격증 소지가 필수요건은 아니지만 우대를 받을 수 있다. 대체로 정규직으로 일하는데 일부 회사에 정규직으로 근무하면서 특정회사만을 위해서 일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직종의 회사를 위해 일하는 경우도 있다.

 

* 관련 자격: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술사/기사/산업기사, 측량기능사, 지적기술사/기사/ 산업기사/기능사, 도화기능사, 지도제작기능사, 항공사진기능사, 해양조사산업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이상 한국산업인력공단), 빅데이터분석기사(한국데이터산업 진흥원) 등

 

 

 

지적 및 측량 기술자

 

 

향후 직업 전망 알아보기

향후 10년간 지적 및 측량기술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2031 중장기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22)에 따르면, 지적 및 측량기술자, 지리정보시스템전문가가 포함되는 측량 및 지리 정보 전문가는 2021년 약 18천 명에서 2031년 약 20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2천 명(0.8%)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적·측량 전문엔지니어링 업체는 2017년 206개, 2018년 228개, 2019년 249개, 2020년 278개, 2021년 기준 309개로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이나 기술자수는 2020년 2,764명에서 2021년 기준 2,847명으로 변동이 크지 않다.(「2022년도 엔지니어링 통계편람」 한국엔지니어링협회(2022)) 또한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아래의 표에서처럼 2019년 기준 사업체 수는 1,738개, 종사자 수는 14,125명이다. 종합하면, 공간정보 제공 필요성의 증가 및 디지털기술과의 융합으로 인한 지적 및 측량기술의 고도화 등으로 전문인력 수요를 가져올 수 있으나 저 숙련 기술자의 전문성 부족, 건설경기 불확실성 대두 등으로 인력감소 요인도 있어 지적 및 측량기술자의 일자리는 향후 10년간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