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교통영향평가원이 하는 일은?
교통영향평가원은 대량의 교통수요를 유발하거나 유발할 우려가 있는 사업을 시행하거나 시설을 설치할 경우 미리 당해사업의 시행 또는 시설의 설치로 인하여 발생할 교통장애 등 교통상의 각종 문제점을 검토·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는 일을 합니다. 즉 교통수요와 교통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평가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이를 위해 인접 지역의 개발계획을 검토하고 사업 예정지 주변의 토지 이용 현황 및 교통 관련 현황을 면접조사나 관측을 통해 조사합니다. 표본추출과 실제 조사과정을 통해 얻은 자료를 정리하여 분석에 이용합니다. 도로시설의 도로조건, 교통조건, 교통통제조건, 발생교통량 등 사업시행 시 영향을 분석하며 통행발생·분포·교통수단선택·노선배정 4단계로 나누어서 장래 교통수요를 예측합니다. 교통영향평가원이 면접조사나 관찰을 통해 사업 예정지 주변의 토지 이용 현황 및 교통 관련 현황을 직접 조사하는 경우도 있으며, 조사업체에 외주를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관측은 CCTV와 같이 영상장비를 통해서 하는 경우도 있고 직접 교통영향평가원이 관찰을 하기도 합니다. 조사·분석된 내용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로 설계, 교통신호, 대중교통, 보행, 자전거, 주차, 교통안전 등 관련 종합 개선방안을 강구합니다. 공공 연구소, 정부기관에 종사하는 교통영향평가원은 영향평가의 심의, 의결, 허가업무 등을 하기도 합니다.
교통영향평가원이 되려면?
교통영향평가원은 교통정보화(지능형 교통시스템) 관련 업체, 관련 연구소, 정부기관, 도시개발공사 등에 취업할 수 있습니다. 대학에서 도시공학, 교통공학 등 교통 관련 전공 졸업 후 진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관련 학과 졸업 후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에 유리합니다. 최근 통계학이나 산업공학, 데이터공학 등 전공이 늘고 있지만 교통에 대한 기본 개념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최소한 복수전공 또는 융합 전공을 하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혹은 교통 관련 전공을 하지 않더라도 교통영향평가원이 될 수 있지만 전공자에 비해 입직에 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는 편입니다. 교통영향평가원은 다양한 교통수단이나 교통시설에 대한 관심이 있는 사람에게 적합한 직업입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데이터 분석 및 영향평가를 하기 때문에 판단력과 평가하는 기간이 행정적으로 정해져 있어 기간 내에 업무들을 처리할 수 있는 집중력이 필요한 직업입니다. GIS(지리정보시스템)을 기본적으로 활용하여 분석과 결과를 제시하므로 공간지각능력과 관련 프로그램 활용능력을 가진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그리고 개선 대안을 체계적으로 도출하여 설득하고 결정할 수 있는 논리력과 제한된 기간 내에 협상을 잘 이끌어 승인을 받기 위한 의사소통역량, 리더십 및 추진력도 요구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 관련 자격: 교통기술사/기사/산업기사, 도시계획기술사/기사, 도로 및 공항기술사, 정보처리기사 등(이상 한국산업인력공단)
향후 10년 일자리 전망
향후 10년간 교통영향평가원의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교통분야 전문업체(엔지니어링업체) 수는 2017년 678개, 2018년 726개, 2019년 751개, 2020년 778개, 2021년 787개 수준이며 초급숙련기술자에서부터 특급기술자인 기술사에 이르는 종사자 수는 2020년 4,723명, 2021년 4,370명 수준입니다. 교통은 운송, 물류를 비롯해 지역발전을 위한 인프라로서도 중요한데 특히 여가생활의 증가로 유명 관광도시 이외의 지방 소도시를 여행하는 수요가 늘면서 새롭게 관광교통계획에 반영해야 할 수요가 있을 수 있으며 스마트도시의 추진과 맞물려 교통에서도 디지털화된 설계가 증가할 전망입니다. 또한 도시재생, 신도시 조성 및 재개발을 위해서도 교통은 거주민의 삶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인프라이며 늘어나는 여가활동에 혼잡시간을 줄이고자 하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원활한 물품의 배송, 놀이동산이나 쇼핑몰 등 대규모 건설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교통영향평가가 필수인 점 등은 향후 교통영향평가원의 일자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특히 전 산업분야의 디지털 전환에 따라 교통분야 역시 혁신기술과 융합하여 점차 고도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통신기술과 결합한 자율주행자동차,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의 등장으로 전용기반시설을 반영하는 것까지 교통설계의 영역이 확장됨으로써 교통영향평가 역시 모빌리티의 특성을 고려하여 고도화될 전망입니다. 종합하면, 교통환경이 디지털화하면서 데이터분석 등으로 대체되는 직무가 있을 수 있고 정부의 SOC투자의 불확실성이 있으나 자율주행차, UAM 등 기존 교통수단의 확장과 고도화, 운송 및 이동 시간 감축을 통한 효율성과 삶의 질 제고 등을 고려할 때 교통영향평가원의 일자리는 향후 10년간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직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