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건축 및 토목 공사현장에서 건설기계를 운전하는 직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건설 및 채굴기계 운전원

 

건설 및 채굴기계 운전원이 하는 일은?

공사현장에서는 건설기계조종사 또는 중장비기사(포클레인기사, 굴착기기사 등)로 불린다. 이들이 다루는 주요 건설기계에는 불도저, 굴삭기, 로더, 지게차, 스크레이퍼, 기중기, 롤러, 노상안정기, 콘크리트뱃칭플랜트, 콘크리트살포기, 아스팔트믹싱플랜트, 아스팔트피니셔, 골재살포기, 쇄석기, 공기압축기, 천공기, 항타 및 항발기, 사리채취기, 준설선, 특수건설기계, 타워크레인 등이 있다. 기중기운전원은 대형 건설현장, 토목공사현장, 항만하역현장, 운송 및 창고업체 현장 건설기계 임대업체 등에서 과중량 화물을 인양하여 상하 또는 좌우로 위치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기중기를 운전하고 정비한다. 이때 주변의 화물이나 물품에 대해 작업자와의 접촉우려가 없는지 확인하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로더운전원은 골재채취 현장이나 토목현장에서 덤프트럭이나 플랜트류 호퍼에 토사나 자갈 등을 적재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로더를 운전하고 정비한다. 롤러운전원은 도로, 활주로, 운동경기장, 제방 등의 지반이나 지층을 다져주기 위해서 정지명세서에 따라 흙, 자갈,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을 굳게 다지는 롤러를 운전하고 정비한다. 모터그레이더운전원은 고속도로, 일반도로, 활주로 등의 건설현장에서 토사, 자갈 등을 펴거나 거친 표면을 평탄하게 고르기 위하여 모터그레이더를 운전하고 정비한다. 건설 및 채굴기계운전원은 공사현장이 거주지로부터 원거리에 있을 경우 현장 근처의 숙소에서 생활한다. 작업 시간 내내 건설기계조종석에 앉아 있기 때문에 허리 통증 등 근골격계 질환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무거운 자재 운반 시 건설기계가 전복되거나 다른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경우도 있으므로 항상 안전사고에 대비해야 한다.

 

 

건설 및 채굴기계 운전원

 

 

건설 및 채굴기계 운전원이 되는 방법은?

건설 및 채굴기계운전원은 건설업체와 계약을 맺은 후 자신 소유의 건설기계를 활용하여 개인적으로 일을 하거나 건설기계임대업체에 취업하여 일한다. 그 밖에 건설기계정비업체나 건설기계매매업체 등에서 일하기도 한다. 채용 시에는 실제 작업에서 수행하는 것과 유사한 형태로 작업환경을 만들어놓고 실기시험을 실시하여 능력을 파악하기도 한다. 별도의 학력제한은 없으며 자격과 능력에 따라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건설 및 채굴기계운전원이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관련 기술자격 (기능사)을 취득하고 적성검사에 합격한 후, 건설기계 종류별로 주소지 관할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으로부터 ‘건설기계조종사면허’를 발급받아야 한다. 덤프트럭, 아스팔트살포기, 노상안정기, 콘크리트믹서트럭, 콘크리트펌프, (트럭적재식) 천공기 등의 건설기계는 ‘자동차운전면허’를 취득해야 한다. 건설기계운전교육은 직업전문학교나 중장비(건설기계) 운전학원, 건설기계제조회사 부설교육센터, 특성화고등학교 건설기계과 등에서 받을 수 있다.

 

* 관련 자격: 기중기운전기능사, 로더운전기능사, 롤러운전기능사, 모터그레이더운전기능사, 불도저운전기능사, 아스팔트피니셔운전기능사, 양화장치운전기능사, 천공기운전 기능사,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타워크레인운전 기능사(이상 한국산업인력공단), 건설기계조종사 면허(교통안전공단), 굴삭기운전 기능사, 지게차운전기능사(이상 한국기술자격검정원)

 

 

 

건설 및 채굴기계운전원

 

 

직업 전망 알아보기

향후 10년간 건설 및 채굴기계운전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2031 중장기인력수급전망」(한국고용정보원, 2022)에 따르면, 건설 및 채굴기계운전원은 2021년 약 152천 명에서 2031년 약 144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8천 명(-0.5%)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9월 현재 국내 건설기계 등록현황은 542,394대로 최근 5년간 연간 1천여 대 수준으로 증가추세이며, 이 중 지게차가 211,311대, 굴착기 170,197대, 덤프트럭 55,440대, 콘크리트믹서트럭이 26,286대 등록되어 있다. 또한 건설기계조종사 면허는 2017년 1,217,097개, 2018년 1,314,265개, 2019년 1,426,691개, 2020년 1,573,649개, 2021년 1,714,422개 2022년 9월 기준 1,818,116이며, 이 중 지게차(3톤 미만 포함)가 1,028,108개로 가장 많으며, 그다음으로 굴착기(3톤 미만 포함)가 506,081개이다. 물론 건설기계 등록 수와 조종사 면허 수가 운전원 취업자 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운전원 중에는 여러 기종의 조종사 면허를 취득하여 일거리 확보 가능성을 높이는 경우도 있고 면허를 취득하였으나 실제 운전원으로 종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향후에는 건설운전분야에도 첨단기술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는데 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한 무인원격조종 등 기존의 장비의 범위를 넓히고 사고도 감소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건설 및 채굴기계운전원 역시 장비의 조종을 넘어 첨단운전장비 원격조종능력,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에 따른 모니터링 및 관리 역량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디지털 장비의 작동원리부터 유지보수관리까지 전문역량을 기를 필요가 있다. 종합하면, 건설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직업 특성상 재개발·재건축 확대방안 및 규제완화를 통한 주택공급확대, 노후화된 SOC시공 등의 긍정적 영향도 있으나 장기적인 정부 SOC투자 확대의 불확실성 등의 요인으로 향후 10년간 건설 및 채굴기계운전원의 일자리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응형